과민성대장증후군이나 위장 질환으로 고생하고 계신가요? 친구가 포부틴정을 복용하고 도움이 됐다고 해서, 이번 글에서는 포부틴정의 성분, 효능, 사용법, 같은 성분 약,가격 정보까지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😊
포부틴정은 어떤 질병에 쓰이나.?
포부틴정에 대해 알아보기전 , 어떤 질병에 쓰이는지 부터 알아볼까요? 포부틴정의 주요 성분인 트리메부틴의
사용 질별병 통계와 계절별 통계분석을 해놓은 글이 있습니다. 아래 정보를 참고해볼까요?
포부틴정 제품 정보
- 제품명: 포부틴정(트리메부틴말레산염)
- 성상: 흰색 원형 정제
- 업체명: 한국유니온제약(주)
- 허가일: 2003년 12월 10일
- 전문/일반: 일반의약품
- 보험약가: 1정당 103원
주요 성분 및 특징
트리메부틴말레산염(Trimebutine Maleate)
포부틴정의 주성분은 트리메부틴말레산염으로, 1정당 150mg이 함유되어 있습니다.
- 작용 기전: 위장관 평활근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과도한 운동은 억제하고, 약화된 운동은 촉진하는 이중 작용을 합니다.
- 특징: 과민성대장증후군(IBS) 및 소화기 기능 장애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약물로 널리 사용됩니다.
첨가제 정보
스테아르산마그네슘, 유당수화물, 미결정셀룰로오스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, 유당불내증 환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.
효능효과
포부틴정은 다음과 같은 질환 치료에 효과적입니다.
- 소화기 기능 이상
- 식도역류, 열공 헤르니아, 위 십이지장염 및 궤양으로 인한 복통, 소화불량, 구역, 구토 완화
-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경련성 결장
- 장운동 이상으로 인한 복통, 설사 및 변비 증상 개선
- 소아 소화기 질환
- 습관성 구토 및 비감염성 장관 통과 장애 완화
용법용량
- 성인: 트리메부틴말레산염으로서 1회 100~200mg, 1일 3회 식전에 복용합니다.
- 조정 가능: 연령 및 증상에 따라 복용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사용상의 주의사항
복용을 피해야 할 경우
- 유당불내증,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-갈락토오스 흡수장애 등의 유전적 문제가 있는 환자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.
부작용
- 소화기계: 드물게 변비, 설사, 구역, 구토, 복명(창자 가스소리) 등 발생 가능
- 순환기계: 드물게 심계항진(두근거림)
- 정신신경계: 졸음, 피로감, 어지러움
- 간장: 간 효소 수치(GOT, GPT) 상승 가능
- 과민증: 드물게 발진 발생 시 복용 중단 후 의료진 상담
임부 및 수유부
- 임산부: 치료 상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사용
- 수유부: 복용 시 수유를 중단하거나, 가능하다면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.
가격 정보 및 복약 비용
- 보험 약가: 1정당 103원
- 1주일 복약 기준 비용:
- 1일 3회, 7일간 복용 시 약 21정 필요
- 약제비: 2,163원
- 총 악국비용 : 10,310원
- 본인부담금: 약 30% 적용 시 약 3,000원
포부틴정과 같은 성분 약은?
포부틴정의 같은 성분 품목 정보에 따르면, 총 15개 품목이 있으며, 금액대는 1정당 63원부터 103원까지 다양합니다.
주요 요약:
- 최저 가격: 삼메틴정 (63원/1정)
- 최고 가격: 대부분의 품목(103원/1정)
- 비급여 제품: 애린쏙정, 위메부틴정150mg, 위트리정150mg, 일양바이오트리메부틴말레산염정150mg
- 대조약: 포리부틴정150mg(삼일제약)
결론
포부틴정은 위장관 운동을 조절하여 소화기 질환의 다양한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줍니다. 과민성대장증후군(IBS) 및 기타 소화기 기능 이상으로 불편을 겪는 분들에게 경제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부작용이나 복용 시 주의사항을 반드시 숙지하시고, 필요 시 전문의와 상담 후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. 💊
'의약품 성분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벨리아크림 후기 : 빠른 효과와 부작용 관리 (0) | 2024.11.21 |
---|---|
레더코트정:효능, 사용법, 부작용까지 알아보기 (1) | 2024.11.20 |
과민성대장증후군 약!! 말릭스정 효과와 부작용 (1) | 2024.11.18 |
콕시브캡슐 복용 전 확인! 효과와 주의사항 (2) | 2024.11.17 |
기침 약 레프로진정: 효과적인 복용 가이드 (1) | 2024.11.16 |